인터넷을 쓰려면 공유기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공유기 없이도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출장, 단기 거주, 인터넷 장애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대안 3가지를 정리했습니다.
1. 모바일 핫스팟 활용
가장 간단한 방법은 스마트폰의 테더링(핫스팟) 기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 장점: 별도 장비가 필요 없고 바로 인터넷 사용 가능
- 단점: 데이터 소모가 크며, 장시간 사용 시 발열과 배터리 소모 발생
포켓 Wi-Fi(전용 모바일 라우터)를 쓰면 배터리 부담은 줄어들지만, 요금제가 별도로 필요합니다.
2. Ethernet 테더링 (스마트폰 → 유선 공유)
최근 안드로이드 11 이상 기기에서는 Ethernet 테더링 기능을 지원합니다.
스마트폰을 USB-C 허브와 Ethernet 어댑터에 연결하면, 집 전체 네트워크 장치에 인터넷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 장점: 유선 연결이라 안정적이고 속도 저하가 적음
- 단점: 허브, 어댑터 등 추가 장비 필요
실제로 5G 스마트폰을 Ethernet 테더링으로 연결해, 집안 공유기 없이도 인터넷을 복구한 사례가 있습니다.
3. 고정 무선 인터넷 & 위성 인터넷
공유기 없는 환경에서 장기적으로 인터넷을 쓰려면, 인프라 기반 대체 기술이 유용합니다.
- 고정 무선(Fixed Wireless): 셀타워나 기지국에서 안테나로 직접 신호를 받아 연결
- 위성 인터넷: 광케이블이 닿지 않는 지역에서도 사용 가능, 단 설치비가 다소 높음
- 4G/5G 홈 인터넷: 통신사 전용 단말기를 설치해 LTE 또는 5G로 집안 전체에 와이파이 제공
대안별 비교표
| 방법 | 장점 | 단점 | 추천 상황 |
|---|---|---|---|
| 모바일 핫스팟 | 간편, 장비 불필요 | 데이터 소모, 발열 | 단기 사용, 외출 시 |
| Ethernet 테더링 | 안정적, 빠른 속도 | 허브·케이블 필요 | 임시 가정 인터넷 복구 |
| 고정 무선·위성 인터넷 | 장기적 사용 가능 | 설치비·요금 부담 | 농촌·외곽 지역, 고정 거주 |
상황별 추천 시나리오
- 출장이나 단기 거주 → 스마트폰 핫스팟
- 가정 인터넷이 갑자기 끊겼을 때 → Ethernet 테더링
- 농촌·외곽, 유선망이 부족한 지역 → 고정 무선 또는 위성 인터넷
이처럼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면, 공유기 없이도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이 가능합니다.
FAQ (자주 묻는 질문)
공유기 없이 인터넷을 쓸 수 있나요?
네, 모바일 핫스팟, Ethernet 테더링, 위성·무선 인터넷 등 다양한 대체 방법이 있습니다.
모바일 핫스팟만으로 집에서 장기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가요?
단기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데이터 제한과 발열 문제 때문에 장기간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Ethernet 테더링이란 무엇인가요?
스마트폰을 USB 케이블과 허브를 통해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공유기 없이도 다른 기기에 인터넷을 공급하는 기능입니다.
위성 인터넷은 어떤 경우에 적합한가요?
도시 외곽이나 농촌처럼 광케이블 설치가 어렵고, 유선 인터넷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적합합니다.
5G 홈 인터넷은 공유기와 어떻게 다른가요?
통신사 전용 단말기를 통해 LTE/5G 신호를 받아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별도 유선망 없이도 집 전체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정 무선 인터넷은 속도가 안정적인가요?
도심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기지국과의 거리, 환경 요인에 따라 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