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과 LG 스마트TV 사용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겪는 고민이 있습니다. 바로 TV와 와이파이를 어떻게 연결하느냐는 문제죠.
이 글 하나로 삼성/LG 스마트TV 와이파이 연결법을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2025년 기준 최신 모델은 물론, 구형 모델까지 아우르는 실전 가이드로 구성했어요.
삼성 스마트TV 와이파이 연결 방법
삼성 스마트TV는 대부분 Tizen OS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연결 과정은 직관적이지만, 일부 모델은 메뉴 위치가 다를 수 있어요.
- 리모컨 [홈] 버튼 누르기
- 메뉴에서 설정 > 일반 > 네트워크 > 네트워크 설정 선택
- 무선(Wi-Fi) 선택
- 연결 가능한 와이파이 목록에서 선택 → 비밀번호 입력
- 연결 완료 메시지 확인
팁: 공유기와 거리가 멀거나 벽이 많은 구조에서는 연결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유선 LAN 연결도 고려해보세요.
LG 스마트TV 와이파이 연결 방법 (webOS 기준)
LG 스마트TV는 webOS를 운영체제로 사용합니다. 버전별로 메뉴 구성이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 흐름은 비슷합니다.
webOS 6.0 이상 (2021년~)
- 설정 → 전체 설정 → 일반 → 네트워크 → 인터넷 연결
webOS 5.0 (2020)
- 설정 → 전체 설정 → 연결 → 네트워크 연결 설정
webOS 4.5 이하 (2019 이전)
- 설정 → 전체 설정 → 네트워크 → 무선 네트워크 연결
공통 과정:
와이파이 목록에서 원하는 네트워크 선택 → 비밀번호 입력 → 연결 완료
일부 구형 모델은 USB Wi-Fi 동글이 필요할 수도 있으니 모델명을 먼저 확인하세요.
연결 오류 발생 시 대처법
간혹 와이파이 연결이 되지 않거나 끊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보세요.
- TV와 공유기 모두 재부팅
- MAC 주소 차단 확인 (공유기 설정에서 확인 가능)
- DNS 수동 설정: 8.8.8.8 또는 1.1.1.1 입력
- 무선 간섭 줄이기: 전자레인지, 무선전화기 등 근처 배치 피하기
- 이더넷 유선 연결 시도
유선 연결과 무선 연결, 어떤 게 더 좋을까?
와이파이 연결이 일반적이지만, 상황에 따라 유선 연결이 더 나은 선택일 수도 있어요.
| 연결 방식 | 장점 | 단점 |
|---|---|---|
| 무선 (Wi-Fi) | 설치 자유로움, 깔끔한 외관 | 속도 불안정, 신호 간섭 가능 |
| 유선 (LAN) | 빠른 속도, 안정적 연결 | 배선 필요, 이동성 낮음 |
스트리밍 서비스나 4K 콘텐츠를 자주 본다면, 유선 연결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스마트TV 연결 트렌드와 통계
2024년 한국정보화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전체 스마트TV 사용자의 약 78%가 무선 와이파이를 이용 중이며,
그중 26%는 간헐적 연결 오류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곧 안정적인 연결 환경의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TV는 콘텐츠 소비의 중심 기기가 되었기 때문에, 연결 품질은 더 중요해졌습니다.
FAQ (자주 묻는 질문)
삼성 스마트TV는 자동으로 와이파이에 연결되나요?
최초 설정 이후에는 자동 연결되지만, 공유기 설정이 변경되면 재연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LG 스마트TV 구형 모델도 무선 연결이 되나요?
일부 구형 모델은 무선 기능이 없어, 별도 Wi-Fi 동글 이 필요합니다.
스마트TV 와이파이 신호가 약하면 어떻게 하나요?
공유기 위치를 TV 가까이 옮기거나 와이파이 확장기(리피터) 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TV에서 인터넷은 연결됐는데 앱이 안 열려요. 왜 그럴까요?
앱 버전 문제 또는 DNS 설정 오류일 수 있습니다. DNS를 8.8.8.8로 수동 변경해보세요.
TV와 인터넷 연결을 확인하는 방법은?
설정 > 네트워크 메뉴에서 인터넷 상태 확인 이 가능하며, 연결 단계별로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
TV를 핫스팟에 연결할 수 있나요?
네. 스마트폰 핫스팟을 켜고 TV에서 와이파이로 검색하면 연결할 수 있습니다. 단, 데이터 사용량 에 주의하세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