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홈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기 중 하나가 바로 구글 홈 미니입니다. 작지만 강력한 기능을 가진 이 기기는 Wi-Fi 연결을 통해 구글 어시스턴트를 활용할 수 있는데요, 처음 구매하면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구글 홈 미니 와이파이 연결 및 초기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구글 홈 미니 전원 연결 및 준비
먼저 구글 홈 미니를 전원에 연결합니다. 전원이 들어오면 기기에서 환영 메시지나 안내음성이 나오며 준비 상태가 됩니다. 이때 LED 표시등이 점등되면 정상적으로 부팅된 것입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Google Home 앱을 미리 설치해 두면 이후 과정이 훨씬 수월합니다.
Google Home 앱 설치 및 계정 로그인
구글 홈 미니 설정은 반드시 Google Home 앱을 통해 진행합니다.
-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에서 ‘Google Home’을 검색해 설치
- 앱 실행 후 구글 계정 로그인
- 위치 권한 및 블루투스 사용 권한 허용
이 과정을 완료해야 기기가 자동으로 검색됩니다.
기기 추가 및 Wi-Fi 연결
앱 홈 화면에서 “+” 버튼 → 기기 설정 → 새 기기 추가를 선택합니다. 앱이 근처에 있는 구글 홈 미니를 검색하면, 기기에서 소리가 나며 연결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집/방 위치를 지정하고, 연결할 Wi-Fi 네트워크를 선택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잠시 후 연결이 완료되면 구글 홈 미니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이후 음성 명령을 받을 준비가 끝납니다.
Wi-Fi 변경 및 재설정 방법
만약 인터넷 환경이 바뀌어 Wi-Fi를 다시 연결해야 한다면 앱에서 기존 네트워크를 삭제하고 새로 설정해야 합니다.
- Google Home 앱에서 기기 설정 → Wi-Fi → 네트워크 삭제 선택
- 이후 처음 연결 과정과 동일하게 새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연결
연결 오류가 계속된다면 기기 뒷면의 리셋 버튼을 10초 이상 눌러 초기화한 뒤 재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정 과정 요약 비교표
| 단계 | 주요 작업 | 확인 포인트 |
|---|---|---|
| 전원 연결 | 어댑터 꽂고 전원 켜기 | LED 표시 확인 |
| 앱 설치 | Google Home 앱 다운로드 | 계정 로그인 완료 |
| 기기 추가 | 앱에서 새 기기 검색 | 기기 소리 확인 |
| Wi-Fi 연결 | 네트워크 선택 후 비밀번호 입력 | 연결 완료 알림 |
| 변경/재설정 | 네트워크 삭제 후 재연결 또는 초기화 | 기기 리부팅 필요 |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법
- 연결 실패: 라우터를 재부팅하거나 기기를 공유기 가까이에 두고 다시 시도하세요.
- 앱에서 기기를 못 찾음: 스마트폰 블루투스를 켰는지 확인하고, 위치 권한도 허용해야 합니다.
- 자꾸 끊김: 5GHz보다 2.4GHz 네트워크가 더 안정적일 수 있으니 네트워크를 변경해 보세요.
- 설정 초기화 필요: 뒷면 리셋 버튼을 눌러 공장 초기화 후 다시 설정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FAQ (자주 묻는 질문)
구글 홈 미니는 인터넷 없이도 사용할 수 있나요?
아니요. 대부분의 기능은 클라우드 기반이라 반드시 Wi-Fi 연결이 필요합니다.
어떤 네트워크가 더 안정적인가요, 2.4GHz vs 5GHz?
2.4GHz는 거리가 멀어도 안정적이고, 5GHz는 가까이 있을 때 속도가 빠릅니다.
다른 계정으로도 설정할 수 있나요?
네, 앱에서 로그아웃 후 다른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해 재설정하면 됩니다.
초기화는 언제 필요한가요?
Wi-Fi를 변경할 수 없거나 연결 오류가 반복될 때, 리셋 버튼을 눌러 초기화해야 합니다.
하나의 구글 홈 앱으로 여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나요?
네, 집 안의 구글 홈 미니와 네스트 기기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습니다.
구글 홈 미니는 몇 개의 Wi-Fi 네트워크를 저장할 수 있나요?
한 번에 하나의 네트워크만 저장할 수 있으며, 변경 시 기존 네트워크를 삭제해야 합니다.








댓글 남기기